병원이나 의원 진료 후 진료비 계산서·영수증은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의료보험 제도가 잘 확립되어 있어 대부분의 진료항목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어 저렴하게 치료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의료기관 진료비 급여와 비급여, 문제점, 의료기관별 비급여 진료비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진료비 급여와 비급여란?
○ 진료비 계산서·영수증을 자세히 살펴보면 진료 항목이 급여와 비급여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병원 진료비는 급여 항목과 비급여 항목 금액이 합산되어 청구됩니다.
· 급여 : 건강보험이 혜택이 적용되는 진료 항목
· 비급여: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진료 항목(라식, 임플란트, 도수치료, MRI 등)
○ 따라서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급여 항목은 어느 병원에서나 같은 금액으로 치료받을 수 있습니다.
○ 비급여 항목은 병원마다 자체적으로 금액을 정하여 치료하고 있습니다.
■ 진료비 비급여 항목의 문제점
○ 진료비 비급여 항목은 병원마다 자체적으로 금액을 정하여 치료하고 있으며 병원마다 비급여 진료비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동일한 진료항목의 가격 차이가 병원마다 천차만별로 조사되기도 했습니다.
※ 비급여 항목 동일 진료 가격 차이[보건복지부 공개]
□ 백내장 수술 다초점 렌즈
- 부산 A 의원(33만 원), 인천 B 의원(900만 원), 27배의 가격차이!
□ 도수 치료
- 서울 C 의원(10만 원), 경기도 D 의원(50만 원), 5배 가격차이
□ 자궁근종 제거
- 경기도 E 병원(200만 원), 경남 F 의원(2500만 원), 12배 가격차이
○ 동일한 질병이지만 진료비 차이가 엄청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어떤 병원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병원 진료비가 천차만별의 돈을 지불해야 합니다.
■ 병원 방문 전 비급여 항목 진료비 확인 활용법!
○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함께 의료기관에서 제출한 가격 등의 정보를 2013년부터 공개하고 있습니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는 비급여 항목 진료비 정보를 통해 병원 방문 전 진료비를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큰 수술을 하거나 MRI 검사 등의 고가 의료비 지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 제도에 의거하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통해 비급여 진료비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 비급여 진료비 확인 서비스→비급여 진료비 정보→비급여 진료정보
https://www.hira.or.kr/npay/index.do#app%2Frb%2FnpayDamtInfoList
www.hira.or.kr
- 기관별, 지역 선택, 병원 규모별, 지역별 선택하여 비급여 진료비용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병원, 진료과목, 검사 항목 등을 선택하여 비급여 진료비용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2. 모바일 앱 '건강e음' 접속
- 앱 접속→메뉴→진료비 알아보기→비급여 진료정보
건강e음 - Google Play 앱
『건강e음』은 내가 먹는약! 한눈에, 약! 찍어보는 안심정보, 내 진료정보 열람, 병원‧약국찾기 등 개인화 콘텐츠를 선별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play.google.com
- App Store에서 제공하는 건강e음 (apple.com)
건강e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모바일 앱 서비스인 『건강e음』은 기관 홈페이지(www.hira.or.kr)의 주요 조회‧신청서비스를 모바일 환경에서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주요
apps.apple.com
- 정보제공 활용 동의 후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비급여 진료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기관별, 지역 선택, 병원 규모별, 지역별, 진료과목, 검사 항목별로 선택하여 비급여 진료비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병원 가기 전 → 비급여 진료비용 검색 → 적정 진료비 확인 → 병원 진료 → 의료비 절약!
- 비급여 진료비용을 직접 확인하고 병원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의료기관 진료비 급여와 비급여, 진료비 비급여의 문제점, 의료기관별 비급여 진료비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고물가 고금리 시대에 병원별 비급여 진료비 사전 확인으로 의료비 지출에 유용하게 활용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