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주택청약저축' 금리 2.8%로 인상! 금융·세제 및 청약 혜택 확대!     
돈 모으는 정보

국토교통부 '주택청약저축' 금리 2.8%로 인상! 금융·세제 및 청약 혜택 확대!

by 돈정보통 2023. 8. 19.
반응형

청약저축에 관한 혜택이 대폭 강화됩니다.

국토교통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주택청약저축 금리 인상과 금융·세제 및 청약 혜택 확대를 발표했습니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주택청약저축 금리 인상과 금융·세제 및 청약 혜택 확대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 청약저축 혜택 강화

○ 국민의 내 집 마련 기반 형성을 원하기 위해 청약저축 금리 인상과 금융·세제 및 청약 혜택을 확대합니다.

 

 

청약저축 혜택 강화_출처: 국토교통부
청약저축 혜택 강화

 

 

■ 주택청약저축 금리 인상

청약저축에 대한 첫 번째 혜택으로 청약저축 금리를 큰 폭으로 인상합니다.

※ 청약저축 금리: 현재 2.1% → 2.8%,  0.7% p 인상

 

'22년 11월 0.3% p 소폭 인상에 이어 이번 인상은 0.7% p로 적지 않은 인상폭으로 보입니다.

- 2022.11.08 - [재테크 팁] - 청약저축 금리 6년 만에 고작 0.3% 인상 ‘찔끔’ 인상…여전히 기준금리 미달

 

청약저축 금리 6년 만에 고작 0.3% 인상 ‘찔끔’ 인상…여전히 기준금리 미달

잇따른 기준금리 인상으로 정부가 주택청약저축 금리를 올리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인상률은 소폭으로 청약자들의 실망이 큽니다. 정부는 주택도시기금의 재무건정성을 감안하였다고 발표했

moneycompany.tistory.com

 

우대금리 혜택이 주어지는 청년 우대형 종합 저축 금리 연 3.6% p에서 4.3% p로 인상됩니다.

 

728x90

 

○ 청약저축 금리가 인상됨에 따라 정책기금 대출 금리도 인상됩니다.

※ 정책기금 대출 금리: 0.3% p 인상
- 디딤돌 대출 금리: 2.15~3.0% p →  2.45~3.3% p
- 버팀목 대출 금리: 1.8~2.4% p →  2.1~2.7% p

 

홈 모기지, 전세사기 피해자 대출, 비정상 거처 및 청년 월세 무이자 대출 서민 주거지원을 위한 정책 금리는 동결됩니다.

 

 

■ 주택청약저축 금융·세제 및 청약 혜택 확대

청약 저축에 대한 두 번째 혜택으로 청약통장 보유자에 따른 금융·세제 혜택도 강화됩니다.

 

주택청약저축 통장 보유자주택 구입자금 대출의 경우 금리 할인이 확대됩니다.

※ 주택 구입자금 대출 금리 할인: 현재 0.2% p → 0.5% p

 

소득공제 대상 연간 납입한도가 상향됩니다.

※ 소득공제 대상 연간 납입한도: 현재 240만 원 → 300만 원, 40% 공제
- 2024년 1월 1일 납입분부터 적용 예정

 

■ 청약통장 혜택 강화

청약저축 가입 기간에 따른 우대금리 혜택이 제공됩니다.

※ 청약저축 가입 기간 우대금리(신규 대출분 적용)
- 15년 이상: 최고 0.5% p 우대금리
- 10년 이상: 최고 0.4% p 우대금리
- 5년 이상: 최고 0.3% p 우대금리

 

 청약점수 혜택이 제공됩니다.

- 청약저축 가입 기간 배우자 통장 점수까지 합산하여 적용됩니다.

배우자 점수 보유기간의 50%, 최대 3점까지 인정
☞ 예: 본인 5년(7점), 배우자 4년(6점)→ 본인 청약 시 5년(7점) + 2년(3점) = 10점 인정

 

가점제 동점 시 추첨 방식이 아닌 청약통장 장기 가입자가 선정됩니다.

 

미성년자의 청약통장 납입 인정 기간과 인정 금액도 확대됩니다.

※ 미성년자 납입 인정 기간: 현행 2년 → 5년
납입 인정 총액: 240만 원→ 600만 원

 

 


금리 조정과 구입자금 대출 우대금리 등의 금융 지원은 고시 개정과 은행 시스템 정비 후 이달 중 시행할 예정이고 세제 지원 확대와 청약저축 혜택은 입법예고 등을 거쳐 하반기 시행 예정입니다.

 

오늘은 주택청약저축 금리 인상과 금융·세제 및 청약 혜택 확대에 대해 포스팅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