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으로 지출되는 통신비 절감은 고물가 시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고가의 스마트폰 값에 무제한 요금제를 적용한다면 월 10만 원을 훌쩍 넘게 지출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통신비 절약 방법으로 실천할 수 있는 게 알뜰폰 요금제입니다.
2022.06.28 - [돈 아끼는 정보] - 통신비 절약방법! 알뜰폰 요금제 활용... 알뜰폰 신청방법
통신비 절약방법! 알뜰폰 요금제 활용... 알뜰폰 신청방법
고정비 지출 금액 중 지속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게 통신비입니다. 고가의 핸드폰 기기값에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하다 보면 월 10만 원을 우습게 지출되기도 합니다. 오늘은 통신비 절약과
moneycompany.tistory.com
NH농협은행이 알뜰폰 사업자 (주)프리텔레콤과 제휴하여 알뜰폰 요금제 NH올원 요금제 가입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오늘은 NH농협이 출시한 알뜰폰 요금제 'NH올원 요금제' 가입 서비스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 NH올원 '알뜰폰요금제' 출시
○ NH농협은행이 기존 통신사 제한 없이 통신요금을 낮출 수 있는 알뜰폰 가입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 NH농협이 출시한 알뜰폰 요금제는 저렴하고 다양한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고 금리우대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 NH올원 '알뜰폰요금제' 가입방법
○ NH올원뱅크 앱을 통해 8월 21일부터 자신에게 맞는 요금제를 선택하여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1. NH올원뱅크 앱 설치
- 알뜰폰 요금제를 가입하기 위해 앱 설치 후 회원가입합니다.

- NH올원뱅크 앱☞ NH올원뱅크 - Google Play 앱
NH올원뱅크 - Google Play 앱
당신을 위한 모든 금융이 한 곳에 ! 농협은행 모바일 뱅크. NH올원뱅크를 만나 보세요 !
play.google.com
☞ App Store에서 제공하는 NH올원뱅크 (apple.com)
NH올원뱅크
당신을 위한 모든 금융이 한 곳에 ! 농협은행 모바일 뱅크. NH올원뱅크를 만나 보세요 ! [NH올원뱅크 주요 기능] 1. 안전하고 간편한 로그인 -간편비밀번호, 지문인증, 패턴 등 나만의 간편방식으
apps.apple.com
2. 요금제 선택
- 요금, 데이터 사용량, 안전기능 강화 등을 고려하여 요금제를 선택합니다.

- 평생 할인 요금제는 실속형으로 데이터(4.4GB~11GB), 요금제(4천900원~1만 2천100원)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무제한 요금제는 기본 제공 데이터(7GB~100GB), 요금제(1만 2천100원~1만 1천800원)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시니어 요금제는 기본 제공 데이터(2GB~2GB+400Kbps), 요금제(1만 2천100원~1만 1천800원)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주니어 요금제는 기본제공 데이터(1GB~2GB), 요금제(3천900원~6천600원)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시니어 및 주니어 요금제는 첫 달 요금이 면제되는 혜택이 있습니다.
3. 인증 및 유심 신청 등록
- 요금제 선택 후 유심을 신청합니다.

- 유심 수령 후 휴대폰 장착 후 이용합니다.
4. 쿠폰 혜택 이용
- 금리우대와 커피 쿠폰 혜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NH올원뱅크→전체메뉴→마이올원→나의쿠폰함 확인
5. 문의
- NH올원 가입문의
※ SKT 알뜰폰: 1661-2207
※ U+ 알뜰폰: 1588-3615
- 금리우대 및 커피 쿠폰 제공 관련 문의: 농협은행(1661-3000)
오늘은 NH농협이 출시한 알뜰폰 서비스의 요금제, 가입방법, 금리우대 등 쿠폰 혜택에 대해 포스팅했습니다.
'돈 아끼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다자녀 가구 혜택! I PLUS카드 신청 및 사용방법(공영주차장·교육·의료·쇼핑·생활) 및 할인정보 (120) | 2023.08.27 |
---|---|
서울시, 19~22세 저소득 청년 '청년문화패스' 모집! 지원 대상, 지원금액, 신청방법 정리 (124) | 2023.08.23 |
서울동행버스 개통! 화성 동탄-강남역, 김포 풍무-김포공항 구간... 노선 경로, 운행시간, 정류장, 요금 정보 (118) | 2023.08.20 |
정부, 다자녀 기준(3자녀→2자녀) 완화 및 지원정책 확대! 정부 및 지자체 혜택 정리 (94) | 2023.08.17 |
경기도내 5개 시(용인, 남양주, 광명, 광주, 이천) 중장년 및 청년 일상돌봄서비스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129) | 2023.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