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강력 태풍 피해 예방 및 대처 방법     
돈 아끼는 정보

초강력 태풍 피해 예방 및 대처 방법

by 돈정보통 2022. 9. 5.
반응형

제11호 태풍 힌남노 역대급 강한 태풍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중심기압 920hPa, 최대풍속 54m/s의 초강력 태풍으로 한반도 전체를 태풍의 영향권으로 보고 있습니다.

 

 

 

출처: 행정안전부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는 가운데 태풍에 대한 예방과 대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태풍 피해 예방 및 대처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태풍이란?

 

 

 

출처: 국민행동요령

 

 

 

태풍은 열대성 저기압에서 발생하는 기상현상으로 17m/s의 강풍과 강풍우를 동반합니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은 흔히 7월 ~ 10월에 발생하게 됩니다.

 

열대성 저기압에서 발생하는 태풍은 강풍과 폭우를 동반하게 되는데요

 

 

 

태풍 강도에 따른 강풍

 

 

 

북상 중인 11호 태풍 힌남노는 54m/s의 강풍을 동반하는 초강력 태풍입니다.

 

 

태풍 대처요령

 

 

 

출처: k-water

 

 

 

 그렇다면 태풍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요령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크게 태풍 진로 예정 시, 태풍 발생 시, 태풍 발생 후 대처 방법이 있습니다.

 

1. 태풍 진로 예정 시

 

 □ 태풍 진로정보와 도달시간을 자주 파악합니다.

  -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기상상황을 수시로 파악

 

 

728x90

 

 

 □ 저지대나 상습 침수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노후 건물, 지하실, 하천 위험지역은 즉시 대피합니다.

   - 계곡이나 하천에서의 야영 금지

   - 방파제 낚시 금지

   - 공사장이나 비탈면 지역 안전상태 확인

   - 하천을 이용 금지

 

 □ 주택이나 차량을 사전 점검하여 대비합니다.

   - 강풍에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은 결박

   - 하천, 해변, 저지대 주차 차량 이동

   - 창문, 창틀은 테이프 등으로 고정

   - 배수구, 저지대, 침수 우려 지역 정비

 

 □ 논이나 비닐하우스를 사전 점검하여 대비합니다.

   - 물꼬를 사전 점검

   - 비닐하우스를 고정

 

 □ 비상용품을 준비하여 재난 발생에 대비합니다.

 

 

 

출처: 국민 행동요령

 

 

 

   - 비상용품과 배낭을 준비

   - 욕실 등에 비상용 물 준비

   - 정전 대비 손전등, 배터리 구비

   - 유관기관과 주민센터, 중대본 등 긴급 연락망 확인

 

 

 

출처: 국민행동요령

 

 

 

 □ 외출을 자제합니다.

 

 

 

2. 태풍 발생 영향(태풍경보) 시

 

 □ 실내에 머무르는 경우

  - 외출 자제

  - TV, 라디오, 기상정보 청취 정보 확인

  - 가족, 지인 등 재난정보 공유

  - 건물, 집안 등 안전 수칙 준수(출입문, 창문 닫기)

  - 사전 가스 차단

  - 전기시설 접촉을 금지(정전 시 손전등 사용)

  - 양초 사용 금지

 

 □ 실외에 있는 경우

  - 산사태 우려가 있는 위험지역 접근을 금지

 

 

 

출처: 국민행동요령

 

 

 

  - 농촌에서는 논둑이나 물꼬 점검을 자제

  - 상습 침수지역, 산간/계곡에서 안전지역으로 이동

  - 감전 위험이 있는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 접촉 금지 

  - 급류에 휩쓸릴 수 있는 하천변, 개울가, 해안가, 맨홀 등에 접근 금지

  - 지하실, 이동 가옥, 옥상 거주 시 대피소로 이동

 

 □ 하천에 있는 경우

  - 하천 수위 상승으로 고립 위험이 있는 곳이나 교량 하부의 경우 즉시 대피

  - 긴급한 경우 즉시 119 신고

 

 □ 운전 중이나 자동차 내에 있는 경우

  - 속도를 감속하여 운전

  - 급류에 휩쓸리거나 침수 우려가 있는 개울가, 하천변, 해안가, 지하차도 접근을 금지

  

 

3. 태풍 발생 후

 

 □ 가족이나 지인의 안전 확인합니다.

  - 실종의 경우 즉시 경찰서 신고

 

 

 

출처: 국민행동요령

 

 

 

 □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확인합니다.

  - 주택, 상하수도, 도로의 파손이나 피해 발생 시 주민센터, 시·군·구청에 신고

  - 가스나 전기는 관련 전문기관에 신고(한국전력, 전기안전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 떨어진 전선 접촉 금지

  

 □ 태풍으로 인한 2차 피해를 방지합니다.

  - 침수도로, 교량, 하천의 접근은 금지

  - 고립지역이나 물가의 횡단을 금지

  - 수돗물 등 식수 오염을 확인

  - 음식물 관리를 철저히 하여 식중독 예방

  - 환기 후 가스 사용

 

 

 

출처: k-water

 

 

 


인간에게는 자연재해는 피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대처를 한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거나 예방할 수 있습니다.

 

초강력 태풍의 진로에 놓여 있는 지금 모두가 안전하게 지나갔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