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생한 대규모 주가조작 사태와 리딩방 사기, 펀드 쪼개 팔기 등 다양한 유형의 새로운 불공정거래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2023.05.14 - [재테크 팁] - 불공정 거래, 시세조종, 자전거래 시세조작 등 주가조작의 종류 및 처벌규정, 신고방법 및 포상금 규정
불공정 거래, 시세조종, 자전거래 시세조작 등 주가조작의 종류 및 처벌규정, 신고방법 및 포상
개인의 소중한 자산을 재테크하는 방법으로 주식시장에 투자하면서 금융 사기에 노출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주가조작은 자본시장의 불공정 거래로 증시에서 공정하지 못하게 얻은 정보
moneycompany.tistory.com
다양하고 교묘한 수법으로 진화하여 피해가 발생하지만 금융당국의 감시와 대응이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금융당국이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 대응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오늘은 금융당국이 발표한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대응체계 개선방안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 불공정거래 감시 및 조사 강화
○ 금융위, 금감원, 거래소와 검찰 등 협업체계를 구축합니다.
※ 기관 협업체계
· 불공정 거래 시장감시 → 조사(현장조사 및 신속 수사) → 과징금 및 거래정지 등 제재
○ 상시 협업 체계와 정보 공유로 체계적으로 사건 전반을 관리하고 협의합니다.
■ 불공정거래 신속 엄정대응
○ 불공정거래 전력자 거래제한
- 위법행위 방지 차원으로 불공정거래 전력자는 10년간 자본시장 거래제한 제재 조치합니다.
※ 불공정거래 규율 위반자에 대해 주식 등 신규 거래 및 계좌 개설 제한
○ 금융당국의 자산동결제도 도입 추진
- 조사과정에서 불공정거래 혐의 계좌에 대해 동결조치 도입을 추진합니다.
※ 추가 불법 행위 차단, 은닉 방지 조치
- 신규 금융거래 및 금융상품 및 예탁금 자산 처분 금지
○ 불공정거래 과징금 제재 시행
-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 및 관계기관 간 협의를 통해 과징금 제재 도입을 시행합니다.
■ 불공정거래 신고 및 시장감시 활성화
○ 신고 포상금 제도 개편
- 불공정 거래 조치에 도움이 된 신고자에게 지급되는 포상금 한도가 확대됩니다.
※ 포상금 지급 확대(적극적 신고 활성화 유도)
- 기존 20억 원 → 개편 30억 원
○ 자진신고자 과징금 감면
- 자진신고 후 성실히 협조할 경우 과징금 최대 100% 감면
○ 공시담당자 및 증권사 임직원 불공정거래 금융당국 신고 유도
○ 이상거래 대응 시스템 강화
- 새로운 유형의 불공정 거래 적발을 위해 분석기간을 최대 1년으로 확대
○ 주요 SNS, 온라인 게시판, 리딩방 등 사이버 감시 강화
- 집중 모니터링 시행
금융당국이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 대응체계 개선방안 발표에 대한 불공정거래 감시 및 조사 강화, 신속 및 엄정 대응 신고 및 시장감시 활성화 방안에 대해 포스팅했습니다.
'재테크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해상 '6090Hero종합보험' 출시! 고령화시대 60~90세 시니어 특화상품! 가입대상, 보장, 특약사항 (188) | 2023.10.12 |
---|---|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지하철 기본요금(1,250원→1,400원), 정기권 요금 인상! 대중교통비 절약하는 법 (198) | 2023.10.03 |
ETF 투자! 장·단점, 상품 종류, 투자 수수료, 운용보수, 세금, 투자방법 정리! (170) | 2023.09.19 |
재산 상속세 및 증여세! 차이점, 신고기한, 가산세, 공제, 신고 및 납부방법, 상속세 VS 증여세 (174) | 2023.09.17 |
2023년 근로·자녀 장려금 신청대상, 지급금액, 신청기간 및 방법, 지급 시기 총 정리! (134) | 2023.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