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시기 '월세 VS 전세' 월세가 싸다! 깡통 전세 우려···월세비중 지속적 증가  
재테크 팁

금리인상 시기 '월세 VS 전세' 월세가 싸다! 깡통 전세 우려···월세비중 지속적 증가

by 돈정보통 2022. 12. 3.
반응형

월세와 전세를 두고 지난 시절 전세를 선호하던 세입자의 선택이 바뀌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주택 통계에 따르면 10월 월세의 비중은 51.83%로 전세 비중 48.17%보다 높은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5월부터 6개월 연속 월세 비중이 높은 수치로 5년 평균치 보다 크게 증가한 수치입니다.

 

오늘은 전세를 선호하던 세입자들이 월세로 이동하는 현상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 세입자들이 전세를 버리고 월세로 이동하는 현상서울과 수도권 지방을 통틀어 일관되는 현상입니다.

 

부동산 매매가격이 크게 하락하면서 집주인이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을 갚지 못하는 깡통전세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깡통전세 란?

- 전세 보증금이 주택 가격과 빚의 차액을 초과해 경매로 넘어갔을 때 전세 보증금을 떼일 수 있는 주택을 말합니다.

- 주택 담보 대출을 받은 집 세입자로 들어온 경우 시세가 조금만 하락해도 위험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 세입자는 전세보증금이 매매 가격의 80%를 넘을 경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지난 시절 세입자들이 선호하던 안정적인 전세를 버리고 월세로 이동하는 것일까요?

○ 첫 번째 이유는 부동산 매매가격이 크게 하락하였기 때문입니다.

- 엄밀히 말하면 지속적인 금리 인상으로 주택시장의 침체가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_출처: 국토교통부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2019년 12월 이래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문제는 전국적으로 미분양 아파트의 증가 추이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 미분양 아파트의 증가분양 시장 침체가 부동산 매매가격의 하락을 불러오고 있습니다.

 

 

출처: 경기부동산포털
경기부동산포털

 

 

- 경기도는 부동산정보 누리집인 '경기부동산포털'에서 깡통전세 알아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https://gris.gg.go.kr/

 

경기부동산포털

 

gris.gg.go.kr

 

- 결국 세입자는 부동산 매매 가격 하락에 따른 깡통전세와 같은 불안한 전세시장을 외면하고 있습니다.

 

728x90

 

- 결국 세입자는 부동산 매매 가격 하락에 따른 깡통전세와 같은 불안한 전세시장을 외면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이유는 금리입니다.

- 전세 대출 이자가 월세보다 적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 최근 금리 인상으로 시중은행의 전세 대출 금리가 5%를 넘는 상황이 되면서 전세 대출을 받은 세입자의 인식이 월세가 싸다는 인식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세 번째 이유는 연말정산 공제 등 혜택이 있습니다.

- 전세나 월세로 사는 무주택 세입자들을 위한 연말정산 공제 혜택이 있습니다.

- 먼저 월세는 세액공제가 적용됩니다.

기준 시가 3억 원 이하 또는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 연간 750만 원 한도
※ 22년 공제율 상향 조정으로 연간 총 급여가 5,500만 원 이하인 경우(15%), 5,500만 원을 넘은 경우(12%)

 

- 34세 이하 무주택 청년은 정부 지원 사업 청년 월세 특별 지원 사업 등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022.07.31 - [돈 아끼는 정보] - 청년 월세 지원! 월 최대 20만 원, 최대 12개월 지급

 

청년 월세 지원! 월 최대 20만 원, 최대 12개월 지급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도가 낮고 최근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주거비 부담은 더욱 가중화되고 있습니다.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는 정책이 있습니다. 바로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시행 중

moneycompany.tistory.com

 


오늘은 금리 인상 시기로 얼어붙은 부동산 침체로 전세를 선호하던 세입자들이 월세로 이동하는 현상에 대해 포스팅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