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귀속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제공! 일정 및 달라진 점, 미리보기, 예상세액 모의계산 방법  
돈 모으는 정보

2023년 귀속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제공! 일정 및 달라진 점, 미리보기, 예상세액 모의계산 방법

by 돈정보통 2024. 1. 15.
반응형

13월의 월급을 받을 수 있는 2023년근로소득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왔습니다.

 

 

2023년 귀속 연말정산_출처: 은평구 블로그
2023년 귀속 연말정산

 

 

2023년 연말정산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세법으로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한도와 공제율이 상향되는 항목을 확인하여 꼼꼼히 준비해야 합니다.

2023.12.14 - [재테크 팁] - 연말정산 세액공제 및 소득공제 세법정리! 월세, 식대,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주택 청약, 영화 관람료 혜택

 

연말정산 세액공제 및 소득공제 세법정리! 월세, 식대,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주택 청약, 영화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서 13월의 월급을 위해 꼼꼼히 준비해야 하는 시기가 되었습니다. 2023년 연말정산부터 달라지는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한도와 공제율이 상향되는 항목들이 있습니다.

moneycompany.tistory.com

 

오늘은 2023년 연말정산 일정 및 간소화 서비스, 달라진 점, 예상 세액 계산하는 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1. 연말정산 달라진 점

○ 식대 비과세 한도 상향

- 적용 시기2023년 1월 1일부터

- 식대 비과세 한도: (기존 월 10만 원 → 상향 월 20만 원)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 조정

소득 수준 구분 과세표준 구간 8개 구간 중 하위 3개 구간 조정

※ 조정
· 1,400만 원 이하인 경우 6%
· 1,400만 원 초과~5,000만 원 이하인 경우 15%
· 5,000만 원 초과~8,800만 원 이하인 경우 24%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혜택 확대

- 혜택 대상: 청년, 60세 이상, 장애인, 경력단절 여성이 농어업, 제조업, 도매업, 음식점업 등 중소기업에 취업한 경우

- 감면 혜택: 3년 동안(청년은 5년 동안) 70%(청년은 90%)의 감면율을 적용

- 혜택 확대: 감면세액 한도 150만 원 → 200만 원 확대

 

월세 세액공제 대상 확대 및 공제율 5% 상향

-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2022.12.25 - [재테크 팁] -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VS 소득공제 대상, 조건, 공제율, 공제금액, 증빙서류, 신청방법 총정리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VS 소득공제 대상, 조건, 공제율, 공제금액, 증빙서류, 신청방법 총정리

13월의 월급 연말정산을 준비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지난 1년간 지출한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기부금 등을 꼼꼼하게 챙기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2022.11.27 - [재테

moneycompany.tistory.com

 

- 대상 확대

· 총 급여가 7,000만 원(종합소득 금액 6,000만 원) 이하인 무주택 근로자
· 시가 4억 원 이하의 주택도 월세 세액공제 대상

 

- 공제율 상향

· 총 급여액이 5,500만 원(종합소득 금액 4,500만 원) 초과의 경우 15%
· 5,500만 원(종합소득금액 4,500만 원) 이하의 경우 17% 공제율 적용

 

- 대상 주택 확대국민주택규모(85㎡) 이하 또는 기준 시가 4억 원 이하인 주택

 

주택청약 납입 금액 40% 근로소득 공제 혜택

- 총 급여가 7,000만 원 이하이며 무주택 세대주 근로자 주택청약 종합저축 납입 금액 40% 종합소득 금액에서 공제

 

주택 임차 위한 대출 자금 원리금 상환액 소득공제 한도 상향

- 대상: 무주택 세대 중 근로소득자 국민주택(85㎥) 이하 주택 임차하기 위해 차입금의 원리금 상환 경우

- 소득공제 한도: 금액의 40%에 해당 금액 근로소득 금액에서 공제 최대 400만 원

 

기부금 세액공제(고향사랑 기부제) 10만 원까지 전액 세액공제

- 10만 원 초과: 16.5%

 

노동조합 회비 소득공제 적용

- 납부 조합비 15% 세액공제 혜택

 

신용카드 및 현금영수증, 체크카드 공제

총 급여 25% 초과 사용 신용카드 15%, 현금영수증, 체크카드 20% 공제

 

도서, 공연, 미술관, 박물관, 영화 관람료 소득공제

 

2. 연말정산 일정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1월 15일 시작하는 2023년 연말정산 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말정산 주요 일정_출처: 국세청
연말정산 주요 일정

 

 

○ 세부 연말정산 일정

※ 간소화 서비스(1/15) → 일괄 제공 동의(1/19) → 자료 내려받기(1/20~) → 원천세 신고서, 지급명세서 제출(3/11)

 

○ 회사 담당자는 2024년 3월 11일까지 원천세 신고서 및 지급명세서를 제출 완료해야 합니다.

 

3.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국세청은 소득공제 항목을 집계해 직장인을 대상으로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가 1월 15일(월) 시작하였습니다.

 

간편 인증을 통해 간소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728x90

 

※ 연말정산 간소화: https://www.hometax.go.kr/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소득·세액공제 자료를 조회하고 한 번에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_출처: 국세청 홈택스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간소화 서비스 제공되지 않는 자료 수집 후 추가 제출에 주의해야 합니다.

 

PDF 파일로 저장하거나 인쇄나 저장 후 회사 제출하면 됩니다.

 

4. 연말정산 예상 세액 계산하기

○ 모의계산을 통해 2023년 연말정산 예상 세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예상 세액 모의계산_출처: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 예상 세액 모의계산

 

 

- 연말정산 모의계산 → 연말정산 자동계산 → 직접 급여 및 기납부 세액 입력

국세청 홈택스 (hometax.go.kr)

 

5. 연말정산 환급

○ 회사마다 지급 시기가 다르지만 보통 연말정산 환급은 2~3월 지급됩니다.

 

6. 연말정산 문의처

○ 국세청 국세 상담 센터: 국번 없이 126


오늘은 2023년 연말정산 일정 및 간소화 서비스, 달라진 점, 예상 세액 계산하는 법에 대해 포스팅했습니다.

잘 준비하시어 두둑한 13월의 월급이 되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